대구시, 미래모빌리티 중심도시

대구시, 1749억 원 투자 미래 모빌리티 허브도시 조성!

▸ 모빌리티 융합산업 육성(519억 원) 국내 최초 KTX 자율주행 지하철 연계, 모터장비 전문, UAM 산업 선도

▸ 친환경차 보급 및 인프라 구축(1,145억 원)


대구시는 ‘땅에서 하늘까지 자유로운 도시’라는 비전 아래 미래 모빌리티 산업 육성을 위해 올해 1749억원(정부 1113원, 시 589원 등 47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재정적으로 지원합니다.

최근 자동차 산업은 자율주행차, UAM(Urban Air Transport) 등 새로운 교통수단의 등장과 함께 이들 산업의 융합을 통해 전통적인 제조업 기반에서 모빌리티 산업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을 감안하여 대구시는 제8대 시민선거 실시에 맞춰 지난해 7월 국내 최초로 미래모빌리티과와 UAM팀을 신설하고 ‘대구 UAM선도도시개발 MOU’를 체결했다.

SKT와 함께 한화시스템, 프랑스 발레오 등 미국 보그워너, 보그워너 등 글로벌 부품업체를 잇달아 유치하며 미래 모빌리티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구시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2023년을 미래 모빌리티 중심도시로의 본격적인 도약을 선언하는 원년으로 삼고, 지역 기업, 대학, 기관 간 긴밀한 협력체제 아래 사업의 신속한 추진을 추진한다.


대구는 도심에 지능형 자동차 부품* 테스트센터를 두고 테크노폴리스, 국가산업단지, 수성알파시티를 중심으로 자율주행 전용도로를 조성해 시승지구를 운영하고 있는 유일한 대도시다.

*지능형자동차부품시험장 : 부지면적 394,565㎡, 고속주선로 등 20개 시험로 건설

*테크노폴리스 – 국가산업단지 일대, 수성알파시티 100km (2024년까지 158km 조성 예정)

이를 바탕으로 ▲현재 국가산업단지, 테크노폴리스, 설화명곡역과 연결되어 있는 ▲자율주행 시험구간을 서대구역 일대로 확대해 국내 최초 KTX 자율주행 지하철이 끊김 없이 연결된다.

자율주행 대중교통’ ▲ 이 밖에도 미래차 디지털융합산업 실증플랫폼 구축사업(120억원)은 이미 구축된 자율주행도로를 일반 시내도로로 확대하는 등 경차부터 버스까지 탈것으로 확대된다.

전 차종이 시연 가능한 상용화 환경 구축 ▲ 또한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주행 시험 수요 증가에 발맞춰 지능형 자동차 부품 주행 시험장 완공 2014년에는 자율주행 테스트 트랙 및 신차에 대한 유럽 평가 기준(EURO NCAP) . 합격(42억 원)할 수 있는 시험장비를 확충해 글로벌 규모의 CAV(Connected and Autonomous Vehicle) 시험장으로 발전시킨다.



최근 정부는 대일 수출제한 품목 중심의 기존 디바이스 관리 정책을 미래 모빌리티 등 첨단 미래산업으로 확대해 민간주도 협력 생태계 확대에 초점을 맞춘 정책 개편을 발표했다.

이에 대구시는 대통령의 전기차 혁신 모터밸리 조성 약속과 함께 지역 강점 모터를 중심으로 모터 특화단지를 조성하고, 계열사 통합을 통한 생산에서 재활용으로

이 지역에는 국내 유일의 전기차 모터용 영구자석을 생산하는 성림첨단산업, 국내 전기차 모터코어의 70%를 생산하는 고아정밀공업, 현대차 ​​전기차용 모터모듈을 위탁생산하는 경창산업 등이 있다.

기반은 이미 구축된 가치 사슬입니다.

또한 대구는 경북, 경남, 울산으로 이어지는 자동차부품벨트 동남권의 관문입니다.

따라서 엔진별 콤플렉스가 조성되면 타 지역과의 시너지 창출과 미래 모빌리티의 글로벌 클러스터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대동모빌리티의 대동일자리창출사업과 연계한 ‘중소상생을 위한 E-딜리버리 모빌리티 협업생태계 조성사업’을 통해 윤석상이 지역주도형 투자·일자리 창출 사업 1호로 선정했다.

-열-정부는 지난해 초소형 전기차 핵심 부품 국산화와 국산화 ‘초소형 전기차 제조도시 대구’의 글로벌 밸류체인을 확대해 위상도 높일 계획이다.

< Förderung der UAM-Konvergenzindustrie >
도시항공운송(UAM)은 2040년 731조원 규모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 식품산업이다.

항공기, 부품제조 등 인프라부터 환승센터(버티포트) 건설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생태계를 형성한다.

교통, MRO 등 서비스 제공 대구경북신공항 건설 등 대구에서 준비 중인 다양한 미래 우주개발사업과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대구시는 지난해 10월 국내 최초로 국내외 기업과 동시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수도권과 경쟁할 수 있는 내륙도시로서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에 힘쓰고 있다.

*(국내) SKT·한화시스템 등 (해외) 미국 항공우주기업 Bell Textron

이를 바탕으로 올해는 ‘UAM 등 모빌리티 산업창업사업(10억 원)’을 통해 선도기술 연구개발 활성화, 글로벌 포럼 운영, UAM 플라잉 디스플레이 후원 등 시민 수용성 확대에 앞장서겠습니다.

금호강~해당도 노선. 특히 무인항공기 상용화에 대비해 비행장 건설 등 인프라 구축을 위한 국비 확보에 만전을 기하겠다는 방침이다.

< Verbreitung umweltfreundlicher Mobilität >
지난해 12월 기준 국내 전기차 보급률은 1.96%로 전국 평균 1.53%보다 높았다.

대구시는 올해 전기차 7,947대(총 34,198대), 전기이륜차 3,335대(총 11,453대) 등 총 11,684대(총 46,585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이종화 대구시장은 “제조와 서비스 융합의 가속화에 직면해 파편화된 도시에서 벗어나 도시계획, 교통,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모빌리티 산업 육성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북신공항 등 대구가 준비하고 있는 향후 50년 도시개발사업과 연계하여 향후 대구가 대한민국 최고의 모빌리티 산업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그리고 K2 전쟁 지역의 개발.”

첨부된하나 2023년미래모빌리티사업부 자금지원사업 및 예산현황

일련 번호 회사 이름 23연간 프로젝트 비용(억 원)
전체적으로 정부 지출 논쟁 개인 투자 구건
전체적으로 1,749.01 1.113.11 588.86 46.94 0.1
하나
사업 지원 / 개인 연습
미래차 개조업체 지원 및 종합지원센터 운영 8.5 8.5
2 대구국제미래모빌리티엑스포 2023년 잡고 있다 23 19.0 4.0
미래 자동차산업 활성화를 위한 동반사업 0.7 0.7
4 스마트 모빌리티 스타트업 캠프 프로젝트 0.6 0.6
5 자동차 산업의 활력 증진을 위한 청년일자리 창출 지원 사업 19.7 9.7 6.5 3.5
6 자동차 산업의 미래 변화를 위한 지역 청소년 작업 프로젝트 3.6 1.8 1.2 0.6
7 대구 미래 모빌리티 산업 육성을 위한 청년 일자리 창출 사업 5.7 2.8 1.9 1.0
8일 다중지능 기반 인간자율주행 핵심기술 중앙개발 8.6 7.7 0.4 0.5
9 미래자동차 핵심기술 전문가 육성 4.3 2.8 0.2 1.3  
10 UAM UAM 모빌리티 산업기반 조성 10 10  
11 드론스쿨 운영 지원 0.2 0.2  
12 미래 이동성

산업 발전
미래 디지털 융합산업 실증플랫폼 구축 127.3 86.9 40 0.4
13 자동차 산업의 미래 기술 혁신을 위한 개방형 플랫폼 생태계 구축 96.31 57.72 20 18.59
14 대학생 자율주행대회
15 자율주행차 테스트존 운영 4 4
16 전기 부품을 구동하는 미래 전기차 실증 기반 조성 사업 7.2 5 2.2
17 전기차 eDS 핵심부품산업 육성사업 27시 45분 19.4 6 2.05
18 전동화 모듈 부품 평가 지원 창업 창업 프로젝트 38.59 27시 45분 11.14
19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미래 모빌리티 선도사업 45 45
20 지역협력 혁신성장사업 10.93 7.65 3.28
21 자동차 부문 인력 양성을 위한 향후 프로젝트 2.65 1.5 0.9 0.25
22 오토튜닝부품기술미래개발사업 45 25.5 11 8.5
23 대구스트리트모터페스티벌 후원 0.83 0.48 0.25 0.1
24 지역 네트워크로 연결된 미래 모빌리티 일체 포함융합기술개발지원사업 30 25 5
25 CAV미래 자율주행차 평가 플랫폼 개발 42.5 25 15 2.5
26 모빌리티 산업을 위한 서비스별 혁신 생태계 구축 19.5 10 6 3.5
27 기반 조성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한 차량의 전기 구동 부품에 대한 미래 제조 프로세스 18.85 13.19 5.66
28 친환경 차량 배송 전기차 구매 지원 906 660 246  
29 전기이륜차 배송사업 58 32 26
30 수소전기차 배송사업 132 92 40  
31 전기차 공동충전 인프라 운영 지원 29 29  
32 전기차 공공충전 인프라 구축(참여예산) 20 20